항해 사전강의 주차 5

항해 99 사전강의 5주차 마지막

이번 마지막 주차에서는 우리가 만들었던 방명록 페이지를 인터넷에 배포해서 전 세계 사람들이 볼 수 있게끔 하는 것 까지 해보았다. Filezilla 설치하기 https://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 가비아 가입후 도메인 구입 https://www.gabia.com 이번 주차에서는 버킷리스트 명록을 만들면서 복습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버킷 리스트를 작성하고 기록하면 mongoDB에 저장되고 페이지에 보이게 된다. 해당 버킷 리스트에 완료버튼을 누르면 해당 버킷 리스트에 줄이 그어지면서 버튼이 사라지게 된다. 이때! 해당 데이터가 몇번째 데이터인지 구분할 수 있는 숫자가 필요하다. 해당 코드를 보면 post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count라는 변수를 만들어서 가져온..

항해99 사전강의 4주차

이번 4주차에서 배울 것 HMTL과 mongoDB까지 연동해서 서버를 만들어 보았다. 내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한 대 이므로, 같은 컴퓨터에서 서버도 만들고, 요청도 해보는 것이다. 즉 클라이언트가 서버가 되는 것! 클라이언트 = 서버 이렇게 클라이언트가 서버 역할까지 하는 것을 로컬 개발환경이라고 부른다. 패키지 설치하기 설치하는 방법 > 파이참 좌상단 File → setting → Python interpreter flask를 검색후에 설치! flask를 이용하여 서버를 만들어 볼 것인데 그전에 서버를 만든다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서버를 만들 수 있는 큰 라이브러리 있고 그것을 프레임워크라고 부른다 flask 가 그런 프레임워크이다 본격적으로 Flask를 사용해 보기 전에 Flask의..

항해99 사전강의 3주차

사전 강의 3주 차에서는 파이썬 언어와 mongoDB 데이터 베이스, 페이지의 내용 스크랩 해오기 파이썬 다운로드 반드시 Python 3.8.6 버전을 설치해야 한다. (3.9는 너무 최신 버전이라 오작동하는 라이브러리들이 있어서) 파이썬 다운로드 링크 https://www.python.org/ftp/python/3.8.6/python-3.8.6-amd64.exe gitBash 다운로드 https://git-scm.com/ 다음으로 파이썬 기초 문법 공부 기본 연산 a = 3 # 3을 a에 넣는다. b = 2 # 2를 b에 넣는다. c = a + b # 2 + 3 더한 값을 c에 넣는다. 문자열을 더할 수도 있다! a = 'bumkyu" b = "lee" c = a + b #"bumkyulee 가 된다"..

항해99 사전강의 2주차

사전 강의 2주 차에서는 먼저 jQerry를 중점적으로 배워 보았다. jQery란? Javascript 코드만 가지고 버튼의 색깔이나 div태그를 하나 감추고 싶다면? 어렵게 작성해야할 코드를 jQerry로는 쉽게 작성할 수 있다? jQery는 HTML의 요소들을 조작하는, 편리한 javascript를 미리 작성해둔 라이브러리이다! javascript코드로 document.getElementById("element"). style.display = "none"; 이 코드를 jQery 코드로 $('#element'). hide(); 이렇게 짧게 바꿀 수 있다. jQery는 미리 작성된 javascript코드를 가져와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쓰기 전에 임포트라는 것을 해주어야 한다. " target="_b..

항해99 사전 강의 1주차

사전 강의 1주차 에서는 웹의 동작 개념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브라우저가 하는일은 무엇일까? 1) 요청하는거 2) 가져와서 보여주는 거 서버라는 곳에서 미리 준비해두었던 것을 브라우저(웹 페이지)가 받아서 그려주는 것이다. 웹 페이지는 요청을 보내고 받은 데이터나 HTML 파일을 그려주는 일을 한다! 그 요청을 보내는 곳은 서버가 만들어 놓은 API라는 창구에 미리 정해진 약속대로 요청을 보내는 것이다! 예) https://naver.com/ → 이것은 "naver.com"이라는 이름의 서버에 있는, "/" 창구에 요청을 보낸 것! 이다음으로 HTML과 CSS를 배웠다. 몇몇 태그들과 상속 관계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html 태그는, 태그가 어떤 태그에 속해 있는지를 아는 게 가장 중요하다. 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