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질문 6

TCP vs UDP

면접 질문 공부를 하다 유튜브에 TCP와 UDP에 대해 우아한 테크쇼 영상에 잘 정리되어 있어서 기록으로 남겨본다! https://www.youtube.com/watch?v=ikDVGYp5dhg&t=475s 트랜스포트 계층 TransPortLayer(계층) EndPoint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구조의 핵심역할을 하는 계층 서로 다른 호스트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 간의 논리적 통신을 제공한다. 트랜스포트 계층의 프로토콜은 종단 시스템에서만 구현된다.컴퓨터나 스마트폰 등등에서 구현됨? 트랜스포트 계층이 없다면 Flow흐름 문제와 Congestion혼잡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함 Flow 흐름 문제는 수송자 간의 ..

면접 질문 2023.10.08

브라우저 저장소

브라우저 저장소 웹 스토리지(Web Storage) : 웹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저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키-밸류 형식의 저장소. 쿠키(Cookie)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지속적인 데이터 교환을 위해 만들어진 키-밸류 형식의 저장 웹 스토리지 ( Web Storage) 웹 스토리지는 HTML5에 추가된 클라이언트 기반 키-밸류 저장소이며, 웹 스토리지는 로컬 스토리지 ( Local Storage ) 와 세션 스토리지 ( Session Storage )로 나눌 수 있습니다. 로컬 스토리지와 세션 스토리지의 차이점은 영구성과 범위에 있어서 크게 차이가 납니다. 먼저, 로컬 스토리지 ( Local Storage )는 브라우저를 종료해도 데이터를 보관(영구성)합니다. 또한, 도메인만 같으면 전역적으로 데이터..

면접 질문 2023.02.27

HTTP

HTTP는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기도 합니다.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란 (보통 웹브라우저인) 수신자 측에 의해 요청이 초기화되는 프로토콜을 의미합니다. 하나의 완전한 문서는 텍스트, 레이아웃 설명, 이미지, 비디오, 스크립트 등 불러온(fetched) 하위 문서들로 재구성됩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들은 (데이터 스트림과 대조적으로) 개별적인 메시지 교환에 의해 통신합니다. 보통 브라우저인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를 요청(requests)이라고 부르며, 그에 대해 서버에서 응답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응답(responses)이라고 부릅니다. 요청 클라이언트가 요청..

면접 질문 2023.02.23

캐시(Cache)

캐시(Cache)란?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는 임시 저장소를 말합니다. 웹 프런트엔드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매번 서버에 요청해서 가져와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 적이며 서버에 부담을 주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 만약 같은 요청에 같은 데이터를 응답하는 요청이라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 놓고 쓰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렇게 응답 데이터의 사본을 저장하는 공간을 캐시라고 합니다. 캐시는 웹에도 존재하며, 웹 캐시(web cache) 또는 HTTP 캐시(HTTP cache)라고 말합니다. 웹 캐시에는 서버-클라이언트 통신간 발생하는 정적 자산(HTML pages, CSS, JavaScript files, images, JSON 등)을 웹 캐시에 복사합니다. 캐시의 종류 종류 위치 설명 브라우저 캐시 브라우저 ..

면접 질문 2023.02.23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Framework(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는 뼈대나 기반구조를 뜻하고, 제어의 역전 개념이 적용된 대표적인 기술입니다. 소프트웨어에서의 프레임워크는 '소프트웨어의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호 협력하는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집합' 이라 할 수 있으며, 완성된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프로그래머가 완성시키는 작업을 해야합니다. 객체 지향 개발을 하게 되면서 통합성, 일관성의 부족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방법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워크의 특징 특정 개념들의 추상화를 제공하는 여러 클래스나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추상적인 개념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같이 작업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컴포넌트들은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높은 수준에서 패턴들을 조작화 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러리(Library)..

면접 질문 2023.02.23

RESTful API란?

REST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API 작동 방식에 대한 조건을 부과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며. REST는 처음에 인터넷과 같은 복잡한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지침으로 만들어졌다. REST 기반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대규모의 고성능 통신을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며. 쉽게 구현하고 수정할 수 있어 모든 API 시스템을 파악하고 여러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다.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를 통해 해당 자원..

면접 질문 2023.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