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터럴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 방식을 말한다.
즉, 리터럴은 값을 생성하기 위한 표기법이다. 따라서 함수 리터럴도 평가되어 값을 생성하며, 이 값은 객체다.
즉 함수는 객체다.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객체 타입의 값이다.
따라서 숫자 값을 숫자 리터럴로 생성하고 객체 리터럴로 생성하는 것 처럼 함수도 함수 리터럴로 생성할 수 있다.
함수 리터럴은 function 키워드, 함수이름, 매개 변수 목록 , 함수 몸체로 구성된다.
구성 요소 | 설명 |
함수 이름 | 함수 이름은 식별자다. 따라서 네이밍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함수 이름은 함수 몸체 내에서만 참조할 수 있는 식별자다. 함수 이름은 생략할 수 있다. 이름이 있는 함수를 기명함수, 이름이 없는 함수를 무명/익명 함수라 한다. |
매개변수 목록 | 0개 이상의 매개변수를 소괄호로 감싸고 쉼표로 구분한다. 각 매개변수에 함수를 호출할 때 지정한 인수가 순서대로 할당된다. 즉 매개변수 목록은 순서에 의미가 있다. 매개변수는 함수 몸체 내애서 변수와 돌일하게 취급된다. 따라서 매개 변수도 변수와 마찬가지로 식별자 네이밍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
함수 몸체 | 함수가 호출되었을때 일괄적으로 실행될 문들을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한 코드 블록이다. 함수 몸체는 함수 호출에 의해 실해된다. |
함수 정의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은 4가지가 있다.
변수는 선언한다고 하지만 함수는 정의한다고 표현한다. 함수 선언문 평가 되면 식별자가 암묵적으로 생성되고 함수 객체가 할당된다.
따라서 ECMAScript 사양에서도 변수에는 선언 , 함수에는 정의라고 표현한다.
그룹 연산자 () 내에 있는 함수 리터럴(bar)은 선언문으로 해석되지 않고 함수 리터럴 표현식으로 해석된다. 그룹 연산자의 피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 한다. 따라서 표현식이 아닌 문인 함수 선언문은 피연산자로 사용할 수 없다.
이처럼 이름이 있는 기명 함수 리터럴은 코드의 문맥에 따라 함수 선언문 또는 함수 리터럴 표현식으로 해석된다.
함수 선언문과 함수 리터럴 표현식은 함수 객체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호출에 차이가 있다.
위 사진에서 함수 선언문으로 생성된 foo는 호출할 수 있으나 함수 리터럴 표현식으로 생성된 bar는 호출할 수 없다.
이 글 처음에서 함수의 구성요소에서 함수의 이름은 함수 몸체 내에서만 참조할 수 있는 식별자라고 하였다.
이는 함수 몸체 외부에서는 함수 이름으로 함수를 참조할 수없으므로 함수 몸체 외부에서는 함수 이름으로 함수를 호출할 수
없다는 의미다. 즉 함수를 가리키는 식별자가 없다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위 사진에서 function bar는 호출할 수 없고 에러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 위 사진에서는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된 함수 foo라는 이름으로 호출할 수 있었다.
foo는 함수 몸체 내부에서만 유효한 식별자인 함수 이름으로 foo로 함수를 호출할 수 없어야 한다.
foo라는 이름으로 함수를 호출하려면 foo는 함수 이름이 아니라 함수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여야 한다.(변수에 = 선언하는 과정 등);
그런데 위 사진에서는 식별자 foo를 선언한 적도 없고 할당한 적도 없다. foo는 그럼 무엇인가?
결론적으로 foo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암묵적으로 생성한 식별자라고 한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함수 선언문을 해석해 함수 객체를 생성한다. 이때 함수 이름은 함수 몸체 내부에서만 유효한 식별자이므로
함수 이름과는 별도로 생성된 함수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가 필요하다.
함수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가 없으면 생성된 함수 객체를 참조할 수 없으므로 호출할 수도 없다. 따라서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생성된 함수를 호출하기 위해서 함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식별자를 암묵적으로 생성하고,
거기에 함수 객체를 할당한다.
정리해서 함수는 함수 이름으로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함수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로 호출한다.
함수 선언문으로 생성한 함수를 호출한 것은 함수 이름 add가 아니라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암묵적으로 생성한 식별자 add인 것이다.
함수 이름과 변수 이름이 일치하므로 함수 이름으로 호출되는 듯하지만 사실은 식별자로 호출된 것이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함수 선언문을 함수 표현식으로 변환해 함수 객체를 생성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단, 함수 선언문과 함수 표현식이 정확히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은 아니다. 함수 표현식에 대해서는 다음번에 글에서 공부해보자!
출처
책 : 모던 자바스크립트 Depp Dive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현식인 문과 표현식이 아니문 (0) | 2022.11.12 |
---|---|
함수 리터럴(2) (0) | 2022.11.12 |
함수 맛보기? (0) | 2022.11.11 |
함수 문제 풀기 (0) | 2022.11.11 |
break 와 continue 키워드 (0) | 2022.11.10 |